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스키너는 행동의 경험적 분석에 주된 관심을 쏟았으며 행동주의 심리학자로 교육과 심리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흔히 알고 있는 '스키너 상자'로 알려진 장치로 동물의 조작적 행동을 연구하였고, 강화이론을 구축하기 위해 행동의 반응률을 측정하는 누적합산기를 만들기도 하였다.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심리학 연구자로 해당 장에는 스키너 이론의 주요 개념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아보자.

    스키너,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 스키너의 강화이론,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이론, 강화

    1. 주요 개념

     

    (1) 조작적 조건화

    스키너는 '스키너 상자'라는 실험 장치를 통하여 유기체가 복잡한 환경 상태에서도 스스로 반응양식을 습득하고 강화해 나가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렇게 여러 반응 중 하나가 보상받음으로써 보상받은 행동이 학습된다는 것을 조작적 조건화라 한다. '스키너 상자' 안에 있는 동물(쥐)이 마음대로 돌아다니게 하고, 한쪽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나 물이 나오도록 하였다. 이는 상자 안을 다니던 쥐가 먹이를 찾아 움직이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눌러 물이나 먹이를 보상으로 얻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쥐는 지렛대를 더욱 빈번하게 누르게 된다. 이 과정을 조작적 조건화라 하고, 그때 반응을 조작적 반응이라고 한다. 

     

    또한 스키너는 음식물을 얻기 위해 지렛대를 조작해야만 빠져 나올 수 있는 미로상자에 동물(쥐)을 넣고 실험한 결과, 즉시 지렛대를 조작하여 미로상자를 빠져나오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효과의 법칙'이라 하였다. 이에 따르면 모든 행동의 결과는 유기체가 앞으로 나타낼 행동의 원인 된다는 이다. 조작적 조건화에 의해 습득된 행동을 조작적 행동이라 하였고, 조건화된 자극-반응이 학습된 행동의 가장 간단한 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사람들은 환경적 자극과 행동 간 관계를 만드는 능력을 발전시키고, 강화는 시간이 흐를수록 행동을 유지시키는 수단이 된다고 보았다.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은 과거 행동의 결과가 어떻게 그 개인의 현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중요시한다. 즉, 반응적 조건화가 행동의 선행조건에 초점을 둔다면, 조작적 조건화는 행동이 발생한 이후의 결과에 관심을 두며, 이로 인해 행동은 결과에 의해 형성·유지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배고픈 사람이 음식을 찾고자 행동하게 되면, 그 행동은 음식에 의해서 강화되고 반복된다. 즉, 강화시키는 결과에 따라 행동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2) 강화

    강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의 중심원리이며,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와 '부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두가지로 나뉘며 이 두 가지 모두 강화된 반응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정적 강화는 음식, 돈, 칭찬 등으로 예를 들어 시험 성적을 잘 받아온 아이에게 아버지가 칭찬하거나 용돈을 주게 되면 보상받은 아이는 이러한 행동을 더 많이 하려고 할 것이다. 반대로 부적 강화는 우는 아이에게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처럼 불쾌한 결과(처벌 등)를 나타내지 않고 철회하거나 혐오적인 것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일차 강화물 : 음식, 물, 따뜻함 등과 같은 무조건 자극을 뜻하며, 이는 학습이 필요하지 않다. 

    이차 강화물 : 돈, 관심, 칭찬, 애정과 같이 조건적인 역사를 통해 학습되고 개발되는 것으로 인간행동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받으면 부모나 교사가 칭찬해 준다는 것을 학습하고, 직장에서 업무적 성과를 내었을 때 상사로부터 인정받고 인센티브를 받는다는 것을 학습하게 되고 이러한 이차 강화물을 얻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3) 처벌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가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다면, 처벌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에 중점을 둔다. 이 역시 '정적 처벌(positive punishment)'과 '부적 처벌(negative punishment)' 두 가지로 나뉜다.

    정적 처벌은 불쾌한 자극을 계속 제공하는 것으로, 말을 안 듣고 투정부리는 아이에게 청소를 시키는 경우를 말하며, 부적 처벌은 어떠한 행동에서 정적 강화를 철회하는 것으로, 친구들과 싸움을 많이 하는 아이에게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기회를 제한함으로써 싸우는 행동을 약화시키는 것이다.

     

    처벌은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이지만 부작용이 생길수도 있다. 처벌로 인해 공격적 행동이 되기도 하고, 처벌을 하는 사람으로부터 도피하거나 회피적인 행동이 나타날 수도 있어 이러한 정서적 반응이 조건화됨으로써 어떤 처벌행동을 보기만 해도 정서적 반응을 유발할 수도 있다. 처벌은 인간 행동의 변화를 위해 필요하지만 지속적인 감독이 필요할 것이다.

     

    (4) 강화 계획

    강화 계획에는 '연속적 강화(continuous reinforcement)'와 '간헐적 강화(intermittent reinforcement)'가 있다. 연속적 강화 계획은 반응이 있을 때마다 강화를 주는 것으로 첫 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사용하며, 간헐적 강화 계획은 간격이나 비율에 따라 강화를 주거나, 고정적으로 혹은 가변적으로 강화를 제공하며 기본적으로 네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고정간격 계획, 가변간격 계획, 고정비율 계획, 가변비율 계획

     

    (5) 변별강화

    어떤 사람이 나타내는 두 개의 반응 중에서 하나는 문제성이 있는 반응, 다른 하나는 사회적응적인 반응이라고 할 때, 사회적응적인 반응에는 강화를 주고, 문제성이 있는 반응에 대해서는 강화를 주지 않는다면 사회적응적 반응은 증가하고 문제성이 있는 반응은 감소한다. 

    예) 자녀가 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경우에만 '잘했다'는 칭찬을 하면 칭찬받는 행동반응이 증가한다. 반면에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보이면 관심을 보이지 않고 강화를 주지 않으면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은 감소한다.

     

    (6) 행동조성

    행동조성은 복잡한 행동이나 복합적인 기술을 학습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며,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하도록 기대에 부응하는 행동을 강화함으로써 행동을 점진적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행동조성은 원하는 반응에 접근할 때마다 강화를 주는 점진적 접근법이라고 한다. 복합적인 행동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행동의 단계로 구분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 아이가 대소변을 가리도록 학습시킬 때, 아이의 배변 욕구에 관한 의사표시에 칭찬을 하여 자기 행동을 조성하고 그 다음 순서로 바지를 내리고 변기에 앉고, 배설한 후 변기의 물을 내리는 행동을 차례대로 행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배변을 해결할 수 있는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시킨다.

    반응형